쇼펜하우어(Arthur Schopenhauer)의 '인생은 고통의 연속이다'에 관하여
쇼펜하우어는 그의 철학에서 인생을 '고통의 연속'이라고 표현하며 이를 그만의 독특한 세계관과 의지, 개념에 기반에 설명합니다. 그는 인간의 삶과 고통의 관계를 몇 가지 핵심 개념으로 풀어내고 있습니다.
1. 고통의 원인
그는 세계의 본질을 맹목적인 의지로 파악하며, 인간은 이러한 의지의 발현 속에서 끊임없이 갈망하고, 이를 충족하려는 과정에서 고통을 겪는다고 보았습니다. 욕망이 충족되지 않으면 좌절과 결핍의 고통이 따르고, 충족되더라도 새로운 욕망이 생기며 만족은 순간적일 뿐입니다. 따라서 삶은 결핍의 상태가 지속되는 과정으로 정의됩니다. 성취 후의 공허함조차 고통의 일환으로 간주했습니다.
또한 욕망이 충족되는 순간의 쾌락은 일시적이고, 곧바로 새로운 고통으로 대체되며, 이는 삶의 허무함으로 이어진다고 설명합니다. 고통에서 벗어나는 방법으로 쇼펜하우어는 예술과 금욕주의를 제시합니다. 예술적 체험은 욕망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순간을 제공하고, 금욕은 의지를 부정함으로써 고통과 욕망의 굴레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를 의미합니다.
쇼펜하우어의 철학은 인간 삶의 고통스러운 본질을 냉정히 직시하면서 이를 초월할 방법을 모색한 노력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2. 고통을 이겨내는 방법
그의 관점에서 삶의 고통을 이겨내는 방법은 고통 자체를 완전히 없애려는 것이 아니라, 이를 초월하거나 새로운 시각으로 받아들이라는 것 입니다.
1) 욕망과 집착에서 벗어나기
욕망은 끊임없이 새로운 고통을 낳는 원천입니다. 욕망을 절제하거나 무조건 충족시키려 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연습이 중요합니다
- 일상속에서 지금 가지고 있는 것들에 대한 감사와 충만함을 느끼는 시간이 도움이 됩니다.
2) 예술과 창의적 활동
쇼펜하우어는 예술을 통해 고통을 초월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예술적 경험은 일상적인 욕망에서 벗어나 세계를 순수하게 바라보는 계기를 제공합니다.
- 자신이 몰입할 수 있는 취미를 발견하여 삶의 고통을 줄입니다.(고통을 배출할 수단을 마련합니다.)
- 음악, 그림, 문학 등을 감상하거나 직접 창작하는 활동을 하면서 현실에서 잠시 벗어나 내면의 평화를 도모합니다.
3) 명상과 마음 챙김
명상의 고통과 욕망의 본질을 깨닫고 이를 있는 그대로 수용합니다. 현재에 집중하고 과거나 미래의 불안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입니다.
- 매일 짧은 시간이라도 가만히 앉아 호흡에 집중하거나 감사한 순간을 떠올리는 시간을 갖습니다. 이를 통해 지금 이 순간을 충실히 살아가는 태도를 기릅니다.
4) 관계와 소속감 찾기
고통을 홀로 감당하지 않고, 신뢰할 수 있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해 나눌 때 더 쉽게 극복할 수 있습니다.
- 타인과의 대화를 통해 위로와 지지를 얻고 삶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형태는 친구나 가족, 커뮤니티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습니다.
5) 삶의 목적 설정하기
쇼펜하우어는 삶이 고통으로 가득 차 있다고 보았지만, 현대적 관점에서는 이 고통을 의미 있는 일에 투자하며 삶의 목적을 찾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 자신에게 중요한 가치나 목표를 설정하고, 그 방향으로 한 걸음씩 나아가다 보면 고통은 단순히 피해야 할 대상이 아닌 성장의 기회로 여겨질 수 있습니다.
* 마치며
고통은 삶의 본질적인 일부로 존재하지만, 이를 부정적으로만 받아들일 필요는 없습니다. 때로는 고통이 스스로를 돌아보고 삶의 진정한 의미를 찾는 계기가 되기도 합니다. 작은 실천(행동)과 태도의 변화가 고통을 초월하는 첫걸음이 될 것입니다.
끝.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읽고나서(feat. 후기) (7) | 2024.11.06 |
---|---|
진리란 무엇인가? (3) | 2024.10.30 |
하남시 공공텃밭 주말농장 후기(초이동 텃밭) (1) | 2023.05.07 |
배달의민족 B마트 외갓집 장항동 진심순대국 (0) | 2023.04.16 |
전산회계 2급 10일 합격수기(ft. 에듀윌, 박쌤 전산회계) (0) | 2023.03.25 |
댓글